리더의 조건
컨텍트, 치과 관련주 주요 이슈 사항 및 주가 전망 분석! 본문
안녕하세요. 오늘은 컨텍트, 치과 관련주 주가 전망 및 주요 이슈 사항에 대해서 분석 해보겠습니다.
컨텍트, 치과 관련주 주요 이슈 사항 및 주가 전망 분석!
치과 주는 대표적인 컨택트(contact) 업종으로 꼽힙니다. 의사와 대면하고 치료 상담을 받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코로나 19에 대한 우려 때문에 치과 방문을 자제하고 있기에 치과의 수요가 감소했습니다. 하지만 화이자와 모더나의 치료제 소식은 컨택트 관련주의 상승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그것은 임플란트 주에도 해당합니다. 관련주로는 오스템임플란트, 덴티움, 디오, 덴티스 정도가 있으며 하나씩 살펴보고 제 생각을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오스템임플란트
임플란트 관련주의 국내 대장주입니다. 대한민국에서 오스템임플란트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시가총액 약 6천억 원이며 상장 주식수는 약 1400만 주입니다. 치과 임플란트와 관련 기자재가 매출의 95% 즉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원래 주가가 8만 원이었는데 코로나 이전에 4만 원으로 주가가 반토막났었습니다. 그리고 코로나19 경제 여파 이후로는 2만원으로 1/4토막 났습니다. 코로나 컨택트 문제야 그렇다고 쳐도 왜 4만원으로 반토막 났는지를 알고서 투자하셔야 합니다. 가장 큰 원인은 추징금 문제입니다. 2019년 9월의 공시인데 415억 원의 추징금을 부과받았습니다. 법인세 세무조사에서 세무 기준을 어기고 잘못 인식시켰다는 인식의 차이 문제 때문입니다. 가장 큰 불확실성입니다. 그리고 그 문제가 해결되고 있습니다. 일단 270억의 부과 처분은 취소되었다고 결정되었습니다. 회사 측에서 추징금을 이의 신청하여 조세심판원에 심판을 청구하였는데 그것이 받아들여져서 취소를 받은 것입니다. 기납부 금액(미리 납부한 금액)은 회사로 돌려받을 예정입니다. 나머지 금액인 140억 원에 대해서도 현재 심의가 진행 중이라고 하니까 결과를 기대해봐야겠습니다. 오스템임플란트의 재무상태입니다. 작년에 영업이익이 430억이지만 당기순이익이 220억 적자인 이유는 아까 살펴본 추징금을 반영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심판 청구가 받아들여지고 추징금을 환급받을 것이기 때문에 당기순이익은 더욱 크게 증가할 것입니다. 부채 비율이 감소하고 현금은 증가할 것입니다. 코로나 19의 쇼크에도 불구하고 2분기 실적은 어닝서프라이즈 매출 1400억, 영업이익 200억, 3분기 실적 또한 매출액 1650억에 당기순이익 467억으로 흑자 전환했습니다. 코로나 상황에서도 3분기까지의 누적 영업이익이 2019년 전년 동기보다 60% 이상 성장하는 기록을 보여주었습니다. 앞으로의 성장이 기대됩니다. 또한 전고점 8만 원을 돌파할 수 있을지가 주목되는 종목입니다.
덴티움
시가총액 약 5000억에 코스피 상장사입니다. 상장 주식은 1100만 주입니다. 이 주식 또한 작년 10만 원이었는데 올해 26000원을 찍고 현재 반등하고 있습니다. 오스템임플란트에 맞먹는 No2 덴티움입니다. 치과 가면 보통 오스템 아니면 덴티움 둘 중 하나를 고르고 있습니다. 덴티움도 오스템임플란트와 마찬가지입니다. 추징금 194억 원인데 동일한 시기에 동일한 이유입니다. 그 이유는 임플란트 제품의 매출시기를 인식하는 기준을 기업들이 국세청에서 요구하는 기준과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자세하게는, 치과로부터 반품받은 임플란트를 매출에서 차감하고 비용을 회계처리 해왔습니다. 당시에 국세청에서는 임플란트 제품 반품을 접대비로 인식하고 세금을 부과했던 것입니다. 하지만 이번 판결에서는 회사의 회계처리 방식에 문제가 없었다고 결론을 내렸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곧 불확실성 해소와 신뢰감을 회복하는 뉴스라고 생각합니다. 주주들 입장에서는 매우 호재이며 새로운 투자자 입장에서도 불확실성이 해소되었으니 투자하기 매력적으로 느껴진다고 생각합니다. 추징금 103억은 전액 환급될 것이며 이것은 4분기 회계 인식에 반영될 것입니다. 당기순이익이 큰 폭으로 상승하고 현금흐름이 증가될 것이기 때문에 재무상태에 긍정적으로 반영될 것으로 보입니다. 안타까운 것은 이번 2020년 3분기 덴티움의 실적 공시입니다. 매출액은 약 620억으로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 감소했습니다. 당기순이익 컨센서스가 90억인데 3분기는 이에 한참 못미치는 50억입니다. 당기순이익은 전년동기대비 50% 감소했습니다. 좀 아쉬운 실적으로 생각됩니다.
디오
시가총액 5천억 원 정도의 코스닥 상장입니다. 상장주식은 1500만 주입니다. 2017년부터 박스권에 계속 갇혀있습니다. 재무상태는 2018년에 영업이익이 80억이었지만 2019년에 대폭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2020년 3분기까지 누적 영업이익은 150억입니다. 부채가 적고 유보율이 높은 회사라서 재무 상태는 양호하다고 보입니다. 최근 공시를 살펴보니까 전환가액을 계속 조정하고 있습니다. 과거 전환사채인수계약서에 따라서 발행될 주식이 남아있습니다. 약 35만 주가 아직 상장될 수 있다는 것은 기존 보유자들에게는 불확실성으로 느껴집니다. 아직 상장되지도 않은 것이 지금 주가가 3만 원인데 그것보다 싸게 발행되어서 매도된다면 기존 보유자 입장에서는 가격 하락의 요인으로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산은과 IBK로부터 주식담보를 갖고 420억 원 채무가 존재합니다. 디오 홀딩스를 포함한 디오의 주식입니다. 2023년까지라고 하는데 이것 또한 투자하기에는 불확실성 요인이기 때문에 투자가 꺼려집니다.
덴티스
덴티스는 상장된 지 얼마 안 된 주식입니다. 스펙 주와의 합병을 통해 코스닥에 상장되었습니다. 포스팅이 너무 길어져서 예전에 작성해둔 포스팅으로 덴티스의 내용을 대체하도록 하겠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내용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