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거절 (3)
리더의 조건

1. 구체적 목표를 설정하라 막연한 기대를 목표로 세워서는 안 된다. ‘무엇을 향해’ ‘누구를 위해’ ‘얼마만큼’과 같이 구체적인 내용이 있어야 한다. 특히 측정 가능하고 기간을 정해야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이 커진다. 예를 들어 “자기계발을 열심히 한다”보다는 “다음달 말까지 하루 1시간씩 e-러닝 강의를 듣는다”는 목표를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우선 순위를 정하라 소위 ‘일 못한다’는 사람은 중요한 일보다는 갑자기 찾아온 하찮은 일에 에너지를 쓰곤 한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즉흥적으로 일을 처리하기보다는 우선순위를 정해 중요한 일부터 계획적으로 처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매일 아침마다 오늘 해야 할 일을 모두 적고 각 일의 중요도를 감안해 A·B·C 등으로 표시를 해두면 편리하다...

가족이나 친구처럼 가까운 관계인 사람이 부탁해오면 거절하기가 참 난감한 경우가 많습니다. 안 볼 사이도 아니고, 서로 도움도 오갔던 사이이기에 부탁을 거절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자칫 까칠하게 굴거나 단칼에 거절해 상대방의 감정을 상하게 할 경우 거절하는 순간에는 깨끗하게 정리된 듯싶어도 정신을 차려 보니 자신이 상당히 어려운 상황에 놓인 것을 알게 돼 후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인간관계를 망치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거절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오늘은 책 에서 찾은 가까운 사이에서 상처 주지 않으면서 단호하게 거절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릴까 합니다. --1. 상대방의 감정을 이해하자 지금껏 누군가에게 부탁한 적 있으신가요? 부탁했는데 상대방의 반응 때문에 상대방과 거리를 두거나 관계를 ..

오늘은 거절 잘하는 방법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이야기에 앞서 여러분께 당부드리고 싶은 것이 한 가지 있는데요. 오늘 제가 상대방이 기분 나쁘지않게 거절하는 법에 대해서 소상히 알려드리겠지만 가급적 일상에서 거절하는 일보다 승낙하는 일이 더 많기를 바랍니다. 승낙을 많이 할수록 좋은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어요. 1. 승낙은 마음의 여유가 있을 때 가능합니다. 그리고 현대사회에서의 마음의 여유는 일상에 어느 정도 여유가 있을 때 가능하죠. 승낙을 잘한다는 것은 곧 일상에 여유가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승낙을 잘 할 수 있는 여유있는 마음 상태인 것도 중요하지만 승낙을 잘 하다보면 그 결과로 인해서 마음에 더 여유가 생기기도 해요. 마음의 여유가 먼저이든 나중이든 상관없이 승낙을 잘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